*해당 글은 <비전공자도 배워서 바로 쓰는 디지털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, 김진 외 2인> 을 읽으며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.
Chapter 4. 구글 애널리틱스 생태계의 이해

구글 애널리틱스와 관련된 역할들
구글 애널리틱스의 사용자는 서비스 기획/운영자이거나, 마케팅 Agency 담당자, 현업 마케팅 담당자, 아니면 Front-End 개발자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.
구글 애널리틱스 아키텍처
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. 유저가 브라우저로 웹 서버에 접속을 하면, 웹 서버는 브라우저 쪽에 HTML을 전달한다. 브라우저는 전달받은 HTML을 다운로드한 후 HTML 문서를 해석해서 화면에 내용을 보여준다.
그런데 현재 구글 애널리틱스 서버는 분석 대상 웹 서버를 알지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, 웹 사이트 분석가가 구글 애널리틱스에게 분석 대상 웹 서버를 알려주는 셋업을 진행해야 비로소 분석을 시작할 수 있다.
구글 애널리틱스 관리자 화면인 콘솔에 로그인한 후, 분석 대상 웹 서버의 URL을 구글 애널리틱스에게 알려주는 Configuration이라는 과정을 진행하면, 구글 애널리틱스 서버가 실질적인 트래킹이 가능한 트래킹 코드를 생성한다. 웹 사이트 분석가가 이 트래킹 코드를 분석 대상 웹 서버에 추가하면 이제부터 의미 있는 분석 데이터가 쌓일 준비가 끝난다.
이제 다시 일반 유저가 분석 대상 웹 서버에 접속하면 유저의 브라우저에 HTML 문서를 제공하면서 추가한 트래킹 코드를 함께 전달하게 된다. 유저의 브라우저는 이 트래킹 코드를 다운로드한 구글 애널리틱스 서버 쪽으로 데이터 트래킹을 위한. js 파일을 전달해줄 것을 요청한 후 이 파일을 다운로드한다. 이 파일이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가 분석 작업을 위한 데이터를 트래킹 하는 역할을 진행한다고 보면 된다.
이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에는 유저의 다양한 트래킹 정보를 1픽셀짜리 투명 이미지 파일에 넣어서 구글 애널리틱스 서버에 웹비콘 이미지를 전달 해 준다. 이 웹비콘 이미지 안에는 접속한 유저가 최초 방문자인지 재방문자인지, 어떤 URL 또는 어떤 랜딩 페이지에 접속했는지, 웹페이지 다운로드에 걸리는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, 그 과정에서 접속한 네트워크 경로가 KT망인지 아니면 하나로 텔레콤 망이지와 같은 온갖 정보를 담아 넣게 된다.
구글 애널리틱스 서버는 웹비콘 이미지를 전달받아서 그 파일을 파싱한 후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그 내용을 입력하고,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 보고서를 제공한다. 구글 애널리틱스의 기본적인 분석 메커니즘은 이런 방식으로 동작한다.
'디지털마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3.분석 방법론 (0) | 2022.03.18 |
|---|---|
|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2. 데이터 분석이란? (0) | 2022.03.17 |
|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 1.구글 애널리틱스 소개 (0) | 2022.03.17 |